광명시가 지난 5년간 지원한 ESG 친화형 기업과 소셜벤처 창업 기업 등 77.3%가 현재까지도 사업을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광명시는 10일 기자 브리핑을 통해 이 사실을 알렸다. 광명시 발표에 따르면, 광명시는 '창업하기 좋은 도시'를 목표로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ESG 친화형 기업과 소셜벤처 기업 등 지역 혁신을 이끌 창업 기업 110개를 지원했다. 그중 85개(77.3%)가 지금도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조사한 2024년 경기도 창업 기업 생존율 45.4%와 비교하면 약 1.7배 높은 수치다.
광명시는 그 원인을 타 지자체처럼 창업 지원 센터를 위탁하지 않고 '직영'으로 운영하며 창업 생태계 조성에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광명시 해당 업무 담당자는 "시제품 개발, 홍보·마케팅 등을 위한 사업 자금 지원과 함께 오피스, 미팅룸, 컨퍼런스룸 등 공간 지원도 했다. 또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 ESG 경영 진단, 전문가 멘토링, 스타트업 교육 등 다각적인 창업 지원 활동을 했다"라고 설명했다.이러한 지원을 하기 위해 5년간 투입한 금액은 약 31억 원. 지원을 받기 전과 후 매출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는 게 광명시 해당 업무 담당자 설명이다.
해당 업무 담당자는 브리핑을 마친 뒤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60여 개 기업 매출을 합산해 보니 지원 받기 전은 약 100억 원이었는데, 지원 받은 후 296억 원으로 약 3배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식기 살균·세척 서비스 제공 업체인 '㈜더좋은'의 경우, 2019년 창업 후 코로나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2020년 창업자금 지원을 받고, 공정라인 정비와 마케팅 홍보에 활용해 같은 해 9월 고객 수 3000명을 달성했다. 2024년 기준 연매출 20억 원을 기록했다.
또 '뉴로아시스'는 2021년에 받은 청년 창업자금을 활용해 치매예방학습지를 개발, 2024년 대한민국 유망특허기술 대상을 수상했다.
살균 기능 물티슈 제조 업체인 '㈜메디프트'는 2023년 지원받은 창업자금으로 신바이오틱스 물티슈와 살균 기능 물걸레 청소포 시제품을 제작해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매출 품목 다각화에 성공했다. 자금 지원을 받기 전 2022년 연매출 4억 원에서 1년 만에 12억 원으로 급성장했다.
2024년 창업자금 지원을 받은 '케렌시스'의 경우 자금을 광명시 농산품인 백작수수쌀을 활용한 바디로션 신제품 개발에 사용해 매출 성장을 이뤄냈다. 친환경 홍보물을 제작·판매하는 '예그린애드'는, 제품 브랜딩과 업무 자동화, 그리고 상표권을 취득하는 데 지원받은 자금을 투입해 회사의 성장을 이끌었다. 또한 못난이(낙과) 과일로 유아용 음료를 생산하는 '제이씨워너비'는 지원받은 자금으로 신제품을 개발·판매하며 매출 성장을 이뤄내고 있다.